js

개발 지식 정리

useMemo와 useCallback에 대한 고찰

다들 React를 처음 공부할 때 여러가지 훅의 쓰임새와 활용방법등을 공부하면서 useMemo와 useCallback이라는 훅을 접해봤을 것이다. 처음 내가 useMemo와 useCallback을 공부했을 때 사용이유는 다음과 같았다. - useMemo는 계산 비용이 높은 연산의 결과를 기억하고, 의존성 배열에 넣어준 deps가 변경되지 않으면 계산한 값을 재사용한다. - useCallback은 함수를 메모이제이션하고, 의존성 배열에 넣어준 deps가 변경되지 않으면 이전에 생성한 함수를 재사용한다. 두 훅 모두 React를 사용하면서 렌더링 성능 최적화를 위해 사용하는 훅인데, 사실 사용하지 않아도 개발자 경험에는 큰 영향을 주지않는다. 사실 큰 영향을 주지않는다기보다 개인적으로 아직 내 실력과 경험이..

개발 지식 정리/Javascript

async/await

이전포스팅에서는 자바스크립트에서 비동기를 처리하는 방식 중 하나인 Promise에 대해서 소개했다. Promise는 Promise가 나온 이전에 사용했던 콜백 함수 패턴의 콜백 지옥을 해결하고 에러처리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 하지만 Promise는 후속처리 메서드 인터페이스에 종속되는 단점이 존재하고 이에 따라 가독성이 떨어져 구현하고자 하는 로직의 의도를 한번에 파악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문법이 바로 ES2017에 도입된 async/await이다. 그렇다고해서 async/await가 Promise를 대체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async/await는 간단한 문법으로 동기적인 코드처럼 보이는 가독성을 가질 뿐 내부적으로는 Promise를 사용해서 비동기를 처리하고 있..

개발 지식 정리/Javascript

Promise

프로미스 이전의 비동기 작업 단점 1: 콜백 지옥 기존의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기 위해서 콜백 함수를 사용했다. 하지만 콜백 함수를 사용해서 비동기 작업을 처리하는 경우 비동기 작업의 순서를 보장하기 위해 중첩된 콜백 함수를 사용하게되고 이로 인해 코드의 들여 쓰기가 깊어져 가독성이 떨어지는 효과가 나타난다. ( 모양이 아도겐 같다 ) 그런데 콜백 지옥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일까? function foo() { setTimeout(() => { return 1 }, 0); } const result = foo(); console.log(result);// undefined 위의 코드를 보자. 비동기 함수란 함수 내부에 비동기로 동작하는 코드를 포함한 함수를 말한다. foo 함수 ..

개발 지식 정리/Javascript

호이스팅

❓호이스팅이란 hoisting을 번역해보면 '끌어올리다'라는 뜻을 가진다. 기본적으로 코드는 위에서 아래로 순차적으로 실행되지만, 사전적 정의와 마찬가지로 자바스크립트에서 호이스팅은 모든 선언문을 해당 스코프의 최상단으로 끌어올리는 동작을 말한다. 실제로 코드가 끌어올려지는 것은 아니고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런타임 이전에 모든 선언들을 렉시컬 환경이라고 하는 자바스크립트 내부 데이터 구조에 저장하는 것으로 선언문이 끌어 올려진 것처럼 동작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해하는 일이 없길 바란다. 변수 호이스팅 변수는 var, let, const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을 진행한다. 이 때 var과 let, const와의 호이스팅에는 차이가 존재하기 때문에 구분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1️⃣ var var과 let, co..

Geonwoo
'js' 태그의 글 목록